mobile background

황반변성이란?

Makuladegeneration

중심망막부위에 나이가 들면서 변화가 동반되어 생기는 질병


망막의 가장 중심에 있는 황반에 변성이 오는 질환을 일컫는다. 황반은 작지만 민감한 부위로 사물의 중심을 볼 수 있게 하고 사물을 인식해 색을 구별하는 등 시력의 90%를 담당한다. 황반변성은 65세 이상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미국에서만 연간 천만 명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황반변성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운전하기, 얼굴 알아보기, 전화하기 등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을 겪는다.

원인

황반변성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모세혈관 장애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망막과 맥락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기고, 이 혈관에서 누출된 혈액이나 액체가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비정상적인 혈관을 생성하는 가장 큰 원인은 노화다. 그 외에 고지방·고열량 식습관, 흡연, 스트레스, 고혈압, 비만, 혈중 콜레스테롤, 심혈관계 질환, 황반변성 가족력 등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고도근시나 원인불명인 경우도 있다.

비삼출성 황반변성
건성 황반변성으로 황반부에 노폐물이 생기고 신경 위축이 발생
삼출성 황반변성
습성 황반변성으로 황반부(가운데 부분) 출혈과 반흔(흉터)이 발생

증상

스스로 자가진단 해보세요

황반변성 초기에는 환자 스스로 뚜렷한 이상을 찾기 어려우나 컨디션이 좋지 못한 날에는 시력이 떨어지고 컨디션이 좋으면 시력이 다시 회복된다. 조금 진행하면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건물 등의 선이 물결치듯 굽어보이는 변형시를 경험하게 된다. 더 진행하면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지 않아 글자의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부분이 지워진 듯 보이지 않게 된다. 특히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 먼저 발병한 경우에는 반대쪽 눈을 사용해 이상을 느끼지 못 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안과를 찾아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 시력, 즉 사물의 형태를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 욕실의 타일이나 중앙선 등 선이 굽어보인다.
  •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글자에 공백이 생긴다.
  • 사물의 가운데가 검거나 빈 부분이 있다.
  • 물체가 찌그러져 보인다.
  • 대비감(색 및 명암을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 대비감이 떨어지면서 시야의 중심에 영구적으로 검은 점이 생긴다.

황반변성의 위험인자

  • 60대 이상 주로 발병
  • 하루 20개비 이상 흡연할 경우 위험도 2배 이상 증가
  • 남성보다 여성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 고혈압인 경우 정상혈압을 유지하는 사람보다 위험도 45% 증가
  • 항산화제와 루테인 섭취가 부족할 경우 위험도 2배 증가
  • 한쪽 눈에 황반변성이 발병한 환자의 42%는 5년 내로 양안에 발병
  • 가족력 망막변성은 유전적 요인이 영향

예방법

황반변성 예방에는 정기적인 안저검사로 황반부 이상을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는 자외선 차단, 금연, 항산화제 복용, 비타민C 복용, 비타민E 복용, 베타A-카로틴 복용, 오메가3 복용, 안토시안 복용, 혈압관리, 체중조절 및 운동 등이 도움이 된다.